Title
양분유출 정보
평가목적
  • 2010년 기준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중 비점오염원의 비중은 58.9~68.3%로, 농경지와 같은 토지계 비점오염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 농경지에서 유출된 양분은 수생태계 측면에서는 비점오염원이 됨. 농경지의 양분은 지표 유출수, 지하 침투수 그리고 흙탕물의 토양에 흡착된 형태로 유출되며 유출된 양분은 수계로 유입되어 하천 및 호소 부영양화의 원인농경지에서 유출된 양분은 수생태계 측면에서는 비점오염원이 됨. 농경지의 양분은 지표 유출수, 지하 침투수 그리고 흙탕물의 토양에 흡착된 형태로 유출되며 유출된 양분은 수계로 유입되어 하천 및 호소 부영양화의 원인
평가방법
  • 시군단위 농경지 양분유출 평가 방법
  • 기후정보로서 종관기상관측소 75지점, 방재기상관측소 333지점의 관측자료 수집
<시군단위 농경지 양분유출 평가 과정>
이미지
  • 미래 기후시나리오 기반 농경지 양분유출 영향 평가
  • 평가기간은 기준년도와 미래로 구분하여 시군단위로 평가 실시
  • 기준년도 : 1976~2005년
  • 미래기간 : 근미래(2010~2039년), 중간미래(2040~2069년), 먼미래(2070~2099년)으 로 구분하여 기간별 차이를 분석
  • 각 평가기간에 대한 3km 격자 수준의 기후지수(연평균 강수량, 20mm이상 강우일수)를 생성
  • 팜맵과 수치표고모형(DEM)을 활용하여 농경지 별 경사도 정보를 추출하고 기후지수와 지형정보를 농경지 양분유출 회귀식에 적용하여 농경지 별 양분유출량을 산정
  • 시군경계도를 이용하여 161개 광역시군의 농경지 양분유출 통계값을 추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군단위 농경지 양분유출 영향평가 과정>
이미지
  • 농경지 양분유출 취약성 평가
  • 취약성 점수 부여를 위해 농경지 양분유출 영향평가에서 수행된 ‘미래 기후시나리오 기반 농경지 양분유출 영향평가’의 결과 값을 사용
  • 평가기간은 농경지 양분유출 영향평가와 같은 기준으로 설정
  • 기준년도 : 1976~2005년
  • 미래기간 : 근미래(2010~2039년), 중간미래(2040~2069년), 먼미래(2070~2099년)으로 구분하여 기간별 차이를 분석
  • 취약성 평가를 위해 지수별 가중치 부여를 위한 계층구조를 형성
  • 1계층은 양분유출 부하량에 대해 시군별 단위면적당 부하량과 총부하량으로 구성
  • 2계층은 논 질소 부하, 밭 질소 부하, 밭 인 부하로 구성
  • 2개 지수간의 가중치를 상위 계층에 동일하게 적용하고 산정된 지수에 대해 관련 전문가에게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설문조사를 의뢰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군단위 농경지 양분유출 영향평가 과정>
이미지
  • 농경지 양분유출 취약성 평가 방법
  • 지수별 취약성 점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1796~2099년 동안 결과 값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부여
이미지
  • 각 기간별, 시군별 취약성 평가 결과는 취약성 점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
이미지
평가결과
  • (기준년도) 강원도 2개 시군(정선, 평창), 경남 4개 시군(통영, 고성, 하동, 거제), 전북 1개 시군(장수), 전남 2개 시군(순천, 고흥), 제주 1개 시군(서귀포)이 농경지 양분유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경기 6개 시군(광명, 부천, 김포, 시흥, 구리, 안산), 경북 3개 시군(경산, 영천, 칠곡), 전남 1개 시군(목포)이 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전국적으로 양분유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경향(17~215% 증가)을 보였으며 양분유출 취약성의 순위 변동은 크지 않았다.
GCM 데이터 테이블
분류 기준년도
(1976~2005년)
RCP4.5 중간미래
(2040~2069년)
RCP8.5 중간미래
(2024~2069년)
시군구명 취약성지수 시군구명 취약성지수 시군구명 취약성지수
상위 10개
시군구
강원 정선군 70.5 강원 정선군 81.4 강원 정선군 82.8
강원 평창군 61.4 강원 평창군 73.1 강원 평창군 74.4
제주 서귀포시 56.0 제주 서귀포시 69.8 제주 서귀포시 71.7
경남 통영시 55.0 경남 통영시 68.4 경남 통영시 70.2
경남 고성군 54.4 경남 고성군 68.1 경남 고성군 70.1
경남 하동군 51.4 경남 하동군 65.1 전남 고흥군 66.6
전남 순천시 50.7 전남 고흥군 65.0 경남 하동군 66.3
전남 고흥군 49.0 전남 순천시 64.1 전남 순천시 65.4
경남 거제시 48.9 전북 장수군 61.5 전북 장수군 63.6
전북 장수군 48.5 경남 진주시 61.3 제주 제주시 63.3
하위 10개
시군구
경북 경산시 4.6 경북 경산시 12.5 경북 경산시 14.5
경기 광명시 5.9 경기 광명시 14.9 경기 구리시 15.6
경기 부천시 6.0 경기 부천시 14.9 경기 부천시 15.6
경기 김포시 6.7 경기 구리시 15.2 경기 광명시 15.7
전남 목포시 7.8 경기 김포시 16.1 경기 김포시 16.8
경기 시흥시 8.9 전남 목포시 16.4 전남 목포시 17.2
경기 구리시 9.8 경기 시흥시 18.2 경기 시흥시 19.1
경북 영천시 10.1 경북 영천시 18.6 경기 안산시 21.1
경북 칠곡군 10.7 경북 칠곡군 18.9 경북 영천시 21.2
경기 안산시 10.7 경북 청도군 19.9 경북 칠곡군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