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소개
“농업·농촌 기후 정보시스템”은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변화와 농작물 재배적지, 병충해, 생태계, 농업용수 영향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농업·농촌분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농업인과 관련 기업의 의사결정, 사업개발, 연구 등에 필요한 과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시스템 구성
“농업·농촌 기후 정보시스템”은 기상부문, 농업부문, 임업/산림 부문, 농업용수 부문에 대해 매년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정보를 웹보고서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농업농촌 기후변화 정보시스템
과거부터 현재까지 연평균 기온, 연평균 강수량, 증발산량 등 기후요소에 대해 1981년부터 최근년도까지 시군별로 연단위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SSP1-2.6, SSP2-4.5, SSP3-7.0, SSP5-8.5)에 따른 미래기간에 대한 기후요소별 전망값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평균기온지도
연평균 기온
연평균강수량지도
연평균 강수량
증발산량지도
증발산량
농업용수에 대한 가뭄, 홍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결과를 GIS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각 기후요소별 시계열 변화와 농작물 재배적지 변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농업용수 관련 기후요소, 농업용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등에 활용된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IPCC 6차 평가 보고서를 위해 2100년 기준 복사강제력과 미래 사회경제변화를 기준으로 산출한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공통사회 경제경로) 시나리오를 활용하였으며, 관련 데이터는 기상청의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인증받은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의 지역기후모델 18종을 제공받아 구축하였습니다.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
ssp기후변화 시나리오 표
기후변화 실태조사
기후변화 실태조사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에 따라 기후변화가 농업·농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취약성을 5년 마다 평가하여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기후변화 실태조사사업으로 구축된 농업·농촌, 임업·산림, 농어촌용수 및 농업생산기반시설 영향에 대한 조사 데이터 및 취약성 평가 결과를 “농업·농촌 기후 정보시스템”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실태조사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