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가축더위 스트레스 정보
추진목적
  • 가축은 온도, 습도 등 환경 요인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가축 사육환경 악화는 가축 생산성, 건강성, 축산물 품질 저하는 물론 심한 경우 폐사까지 이르게 함
  • 기후변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가축 생산을 위해서는 온습도 등 환경 변화에 따른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변화를 지속적으로 조사·분석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여야 함
조사방법
  • 기상관측자료 수집 및 자료화
  • 기후변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가축 생산을 위해서는 온습도 등 환경 변화에 따른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변화를 지속적으로 조사·분석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여야 함
  • 기상청 자동기상관측자료 중 일 평균/최고 기온 및 평균상대습도 등 기상요소를 수집하고 자료화
  • 시간 및 공간적 범위
  • 조사기간: 2016~2020년
  • 공간범위: 167개 시군(구)
  • 가축가축더위스트레스수 산출
  • 관측자료를 적용하여 공간해상도 1km×1km수준에서 THI기반 가축더위지수 모형을 이용
  • 분석자료는 2016년~2020년 수집한 기상관측자료 중 통상적으로 하절기(여름철)로 구분되고 고온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6~8월까지의 온·습도 자료를 활용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산출식>
*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1.8×대기온도+32)-[(0.55-0.0055×상대습도)×(1.8×대기온도-26.8)]
  •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단계는 양호, 주의, 경고, 위험, 위급 5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 가축 상태는 다음과 같음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단계 및 범위>
시군단위 농경지 양분유출 평가 과정
축종 양호 주의 경고 위험 위급
한우/젖소 72이하 72~78 79~89 90~99 99이상
돼지 64이하 64~73 74~83 84~94 94이상
가금 63이하 63~73 74~80 81~92 92이상
<가축더위스트레스 지수 단계별 상태>
시군단위 농경지 양분유출 평가 과정
단계 단계별 상태
위급 - 폐사발생
돼지 - 사료섭취량 20% 이상 및 극심한 체중 감소
- 다호흡 발생, 호흡량 및 체온 증가로 인한 체내 호르몬 변화
경고 - 사료섭취량 및 체중 감소, 호흡수 및 체온 상승
주의 - 약간의 스트레스
양호 - 가축 사육을 위한 적정 환경
조사결과
  •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 조사기간(2016~2020년) 평균 일최고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는 82.0으로 나타났으며, 최소/최대값 범위는 74.9~85.0이었으며, 연도별로는 2018년이 83.5(76.4~86.8)로 가장 높았으며, 2019년과 2020년은 81.1(74.2~84.0), 81.0(74.4~83.5)로 낮아짐
  • 경고단계 초과한 날수 비율
  • 조사기간(2016~2020년) 평균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경고단계 초과한 날수 비율은 한우/젖소 64.2%(23.4~78.6%), 돼지/가금 83.7%(60.0~97.2%)였으며, 연도별 경고단계 초과한 날수 비율 역시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변화 양상과 유사함
  • 일최고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변화(일최고기온 기준)
일최고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변화(일최고기온 기준)
구분 평균값 2016 2017 2018 2019 2020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82.0 82.5 82.0 83.5 81.1 81.0
  •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경고단계 초과한 날수 비율 변화(일최고기온 기준)
일최고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변화(일최고기온 기준)
구분 평균값 2016 2017 2018 2019 2020
한우/젖소 64.2 64.1 66.4 68.6 60.6 61.2
돼지/가금 83.7 84.6 84.5 85.1 82.9 81.6
  • 가축더위스트레스지수 및 경고단계 초과한 날수 비율(%) 변화

<가축더위스트레스 지수>

가축더위스트레스 지수

<경고단계 초과한 날수 비율(%)>

경고단계 초과한 날수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