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적지 정보
재배적지 정보
사과
사과
재배환경
  • 생육온도 : 발아적온 15~21℃ 육묘적온 18~25℃
  • 기상환경 : 평균기온 : 8~11℃(6℃ 이상~14℃ 이하)
  • 생육적온 : 18~24℃(30℃ 이상 과실비대, 꽃눈형성 불량)
  • 과실 성숙기 생육적온 : 20~25℃ (착색적온 : 일평균 12~13℃, 야간 평균기온 8℃ 전후)
  • 일조시간 : 2,300 시간 ㅇ 강 수 량 : 1,300mm 이하
  • 토양조건 :토 성 : 양토~사양토
  • 작토깊이 : 1m 이상
  • 토양경도 : 18mm 이하(24mm 이상은 심한 장해)
  • 투수성 : 2.7mm/시간(토양 구조 발달 중요)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생육기기온 14.5~18.5 13.5~14.5 , 18.5~19.5 < 13.5 , 19.5 <
연평균기온 7.5~11.5 6.5~7.5 , 11.5~12.5 < 6.5 , 12.5 <
성숙기기온 10.0~20.0 - < 10 / 20.0 <
극최저기온 -30 -32 -35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배
재배환경
  • 생육온도(℃) : 생육적온20 내외 동해온도 휴면기-25~-30 동해온도 개화기 -1.7~-2.8 지온 (℃) 최고 26~27 최적 20
  • 재배적지 : 토심이 깊고 유기물함량이 많으며 토양산도 pH 5.5~6.5가 좋음
  • 바람이 세지 않으며 배수가 잘되고 늦서리 피해가 없는곳
  • 평지가 제일 좋으며 경사지는 15°미만까지 재배가능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생육기기온 18.5 ~ 21.5 17.0 ~ 18.5, 21.5 ~ 23.0 < 17.0, 23.0 <
연평균기온 11.5 ~ 15.5 10.0 ~ 11.5, 15.5 ~ 17.0 < 10.0, 17.0 <
발아기기온 8.5 ~ 10.5, 13.5 ~ 15.5 - < 8.5, 15.5 <
극최저기온 -25< -30.0~ -25.0 <-30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복승이
복숭아
재배환경
  • 기상환경 : 연평균기온 12~15℃, 강수량 900~1,000mm, 한계 저온 -25~-30℃
  • 재배적지 : 토심이 깊고 배수 양호한 양토 또는 사양토, 토양산도는 pH 4.9~5.2정도의 산성토양에서 잘 자람, 사방이 산으로 막힌 분지는 개화 전후 늦서리 피해를 받기 쉬움
  • 생리적 특성 : 꽃눈 분화기는 대체로 7월하순에서 8월하순임, 눈은 홑눈, 겹눈이 있으며 겹눈인 경우 대체로 꽃눈 2개, 잎눈 1개가 정상, 자가결실율이 양호, 꽃가루 없는 품종은 꽃가루 많은 품종과 혼식해야 함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생육기기온 18.0 ~ 23.0 16.0 ~ 18.0 < 16.0, 23.0 <
연평균기온 11.5 ~ 15.5 10.5 ~ 11.5, 15.5 ~ 16.5 < 10.5, 16.5 <
극최저기온 22.0 이상 20.0 ~ 22.0 20 이하
10월 평균기온 -20< -23 ~ -25 < -25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포도
포도
재배환경
  • 생육온도 : 발아기 20~25℃ 비대기 20~25℃ 개화기 20~25℃ 성숙기 20~25℃
  • 재배적지 : 토양 적응범위는 넓은 편으로 pH 6.0~6.5 정도가 적당
  • 척박한 토양에도 잘 견디며 내습성, 내건성이 강해 재배 범위 넓음
  • 꽃눈 분화가 5월 하순~6월 상순에 시작하므로 당년의 개화, 결실과 동시에 진행함
  • 성숙기에 비가 많으면 당함량이 떨어지고 탄저병을 비롯한 각종 병해와 열과 심함
  • 과피색이 당도 및 산도에 비하여 성숙기준에 조기에 도달 하므로 과피색 위주로 수확하면 신맛 포도 생산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연평균기온 11.0 ~ 15.0 9.0 ~ 11.0, 15.0 ~ 17.0 < 9.0, 17.0 <
생육기기온 18.0 ~ 22.0 16.0 ~ 18.0, 22.0 ~ 24.0 < 16.0, 24.0 <
9월 평균기온 < 26.0 - 30.0 <
10월 평균기온 15.0 이상 13.0 ~ 15.0 13.0 이하
온량지수 - -18.0~-25.0 < -25.0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4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단감
단감
재배환경
  • 평균기온 : 13℃이상 되는 지역
  • 휴면기 평균기온(12월~익년 2월) : -1℃ 이상
  • 휴면기 최저기온(12월~익년 2월) : -4℃ 이상
  • 성숙기 평균기온 : 10월 15℃, 11월 9℃ 이상
  • 일조시간 : 2,340 시간 이상
  • 단감은 새가지에서 잎이 핀 후 개화 결실하며, 과실은 전년도가지 선단부에서 기부쪽으로 1~5개눈에서 발생한 새가지에 착과됨
  • 생리적 낙과가 많기 때문에 결실 조절에 유의하여야 하며, 수분수는 반드시 5~10%를 혼식하는 것이 좋음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연평균기온 13.0 이상 12.0 ~ 12.9 12.0 이하
생육기기온 20.0 ~ 25.0 18.0 ~ 20.0 18.0 이하
9월 평균기온 22.0 이상 20.0 ~ 22.0 20 이하
10월 평균기온 15.0 이상 13.0 ~ 15.0 13.0 이하
온량지수 105 이상 100 ~ 105 100 이하
극최저기온 -14.0이상< -15 ~ -14 -15.0 이하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감귤
감귤
재배환경
  • 생육온도 : 발아적온 15℃이상 비대적온 20~25℃ 저장적온 4~5℃
  • 재배적지 : 연평균 15~18℃지역
  • 연평균 15~18℃이상 되는 지역에서도 -4~5℃에서 동결됨
  • 다우 조건에서도 잘 견디나 건조한 토양조건에서 성숙되어야 당도가향상됨
  • 평균기온이 높게 유지되는 지역에서 품질이 높음
  • 수상에서 완숙시켜 수확하면 당도가 향상됨
  • 성숙기 다공질 필름을 멀칭하면 당도 향상이 가능함
  • 높은이랑, 배수로 조성 후 멀칭하면 당도향상 효과가 극대화 됨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연평균기온 15.0 ~ 18.0 14.0 ~ 20.0 그외 지역
생육기기온 -7.0 이상 -9.0 ~ -7.0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고추
고추
재배환경
  • 생육온도 : 발아적온 25~32℃ 육묘적온 22~30℃ 개화적온 18~23℃
  • 생육적온 : 20~30℃ 과비대 적온 18~23℃ 저장적온 4℃
  • 재배적지 : 토양 적응범위는 넓은 편으로 pH 6.1~7.6범위이나 6.5정도의 중성토양 적당
  • 중일성 작물로 가지과에 속하는 영년생 작물임
  • 가뭄에 강한 편이나 장마에는 약함(일명 : 한초)
  • 개화, 착과 가능온도 : 15.5℃~28.5℃
  • 주당 300~400화 정도가 개화하여 200화정도 착과하며, 이중 70~130개 정도 수확이 가능함
  • 꽃피는 주기 1차~7상, 2차~8상, 3차~9중
  • 붉은고추 수확이 가능한 개화·결실 한계기 : 중부-8하, 남부9상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평균기온 적온
6~10월 월평균
18~22℃ 15~18℃
22~30℃
15℃ 미만, 30℃ 이상
생육일교차 적온
9~10월 월평균기기온
9℃ 이상 7~9℃ 7℃ 미만
강수량 적온
7~10월 월평균
230㎜ 미만 230~300㎜ 300㎜ 이상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당귀
당귀
재배환경
  • 생육온도 : 발아 최적온도 20~25℃ (평균 발아일수 15~20일)
  • 재배환경 : 당귀는 지대가 높은 산에서 자생하며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고 온도가 높고 무더운 지역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 만추당귀는 해발 400m 이상의 중산간고랭지가 적지이고, 육묘이식 재배를 할 경우 묘두의 직경은 0.7㎝ 이상의 대묘는 추대될 우려가 있으므로 묘두직경 0.3~0.7㎝의 묘를 심는다. 타화수정 작물이므로 품종의 고유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격리채종을 하여야 한다.
  • 재배적지 : 해발 500m 이상의 지역이 적합하며, 해발이 낮은 지역에서 재배하면 여름철에 고온의 해로 실패한다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연평균기온 6.0 ~ 10.0 ℃ 10.0 ~ 13.0 ℃ 그외 지역
생육기 평균기온
(4 ~ 10월)
13.5 ~ 16.5 ℃ -
7 ~ 8월
평균기온
19.0 ~ 23.0 ℃ 13.4 ~ 19.0 ℃,
23.0 ~ 25.0 ℃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인삼
인삼
재배환경
  • 생육온도 : 발아 및 출아기(10~15℃), 전엽 후(21~25℃)
  • 습도 : 포장용수량의 60% 정도(손으로 흙을 쥐고 놓았을 때 부서지지 않고 실금이 갈 정도)
  • 일조량 : 온도에 따라 5,000~15,000Lux 정도
  • 재배환경 : 다년생, 반음지성 식물로 생장속도가 느리고, 내병성, 내비성, 고온, 강한 광 및 과습 등에 약함
  • 토성 : 사양토보다는 양토 또는 식양토가 생육에 좋은 경향
  • 토양의 물리성 : 고상 50%, 액상·기상이 각각 25%가 양호
  • 토양의 화학성 : 화학성분이 지나치게 많은 밭은 호밀, 옥수수, 수단그라스 등을 재배하거나 볏짚이나 왕겨 등을 많이 시용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연평균기온 - 0.9 ~ 13.8 ℃ 0.9 ℃ 이하
13.8 ℃ 이상
발아/출아 평균기온
(4월)
7 ~ 15 ℃ - 0.5 ℃ 이하
전엽/개화기 평균기온
(5월)
10 ~ 20 ℃ - 5.0 ℃ 이하
결실기 평균기온
(6 ~ 7월)
21 ~ 25 ℃ 5.0 ~ 21.0 ℃ 5.0 ℃ 이하
고온피해 평균기온
(8월)
- - 28.0 ℃ 이상
발아/출아 평균기온
(4월)
- 0.9 ~ 13.8 ℃ 0.9 ℃ 이하
13.8 ℃ 이상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천궁
천궁
재배환경
  • 생육온도
    - 토천궁: 여름 최고기온 28℃이상 되지 않고 서늘 하며 낮과 밤의 기온차 많은 곳 (해발 300m이상의 중북부지방 산간고냉지에서재배 유리)
    - 일천궁: 호천궁보다 추위에 약하며 여름철 서늘하고 햇빛이 강하지 않으며 기온이 30℃이상 올라가지 않는 곳이 재배유리
  • 토질: 부식질 많고 배수가 잘되는 사양토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연평균기온 9.0 ~ 10.0 ℃ 8.1 ~ 9.0 ℃,
10.0 ~ 14.0 ℃
8.1 ℃ 미만,
14.0 ℃ 이상
생육기 평균기온
(4~10월)
15.0 ~ 17.0 ℃ 14.0 ~ 15.0 ℃,
17.0 ~ 20.0 ℃
14.0 ℃ 미만
20.0 ℃ 이상
7 ~ 8월
평균기온
- - 30.0 ℃ 이상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참다래
참다래
재배환경
  • 재배적지 : 연평균기온 14℃이상 최저기온 -10℃이상 강수량 1,300mm 유효토층 40~50cm 이상 사양토 토양산도 6.5 일조시간 1,800시간 이상
  • 휴면타파를 위해 6~7℃에서 600~800시간 저온기간 요구
  • 암나무와 수나무가 분리된 자웅이주로 자가결실성이 없어 인공수분 필요
  • 암꽃은 결과지 기부 2.3~6,7마디에 착생
  • 수꽃은 기부 1~9마디에 착생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4월 최저기온 0℃ 이상 0℃ 이하
5월 평균기온 13℃ 이상 13℃ 이하
10월 평균기온 10℃ 이상 10℃ 이하
12~2월 평균기온 11℃ 이하 11℃ 이상
연강수량 1,250mm 이상 1,250mm 이하
극최저기온
(30년 빈도)
–10℃ 이상 –10℃ 미만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여름배추
여름배추
재배환경
  • 생육온도 : 발아적온 25~25℃ 육묘적온 20~22℃ 개화적온 12℃ 생육적온 15~20℃ 결구적온 15~16℃ 저장적온 0~3℃
  • 재배적지 : 토양산도는 pH 5.5~6.8 정도가 알맞고, 산성토양에서는 병해 발생 증가
  •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저온성채소로 생육초기에는 고온에 비교적 잘견디나 결구기에는 내고온성이 약함
  • 종자춘화형의 식물로 12℃이하에서 7일이상 지나면 꽃눈이 분화 되고, 고온에 의하여 추대가 촉진됨
  • 자가 불화합성이 있어 계속 자식시키면 세력 약화됨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생육 적온
6/1~8/15 평균기온
18~21℃ 15~18℃
21~23℃
15℃ 미만, 23℃ 이상
결구 적온
6월 평균기온
15~17℃ 15℃ 미만, 17℃ 이상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
난지형마늘
마늘
재배환경
  • 생육온도 : 발아적온 15~27℃ 육묘적온 18~20℃ 구비대적온 18~20℃ 저장적온 상온, 저온(0~2℃)
  • 재배적지 : 토양산도 pH 5.5~6.0 정도에서 생육양호
  • 마늘쪽이 분화되기 위해서는 5℃이하에서 30일이상 경과되어야 함
  • 25℃이상의 고온에서는 생육의 정지
  • 구의 비대는 일장과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12시간의 장일에서 구 비대가 촉진되고 단일 조건에서 구비대 억제
재배적지 지표
재배적지 지표
지표 적지 가능지 부적지 & 저위생산지
겨울 동해 적온
-5℃ 최대연속일수
0일 1~3일 4일 이상
쪽 형성 적온
2월중~3월상
-1℃ 최대연속일수
15일 미만 15일 이상
발아기 적온
11월 최저기온
2℃ 이상 2℃ 미만
재배적지 지도
현재
2030지도
2030년대
2030지도
2040년대
2040지도
2050년대
2050지도
2060년대
2060지도
2070년대
2070지도
2080년대
2080지도
2090년대
2090지도
2100년대
2100지도
등급 구간값
저위생산지
재배가능지
재배적합지